글쓰기 연습/독후감

[독후감] 당신의 가격은 틀렸습니다

ggyongi 2025. 2. 20. 00:47

김유진 지음

읽은 기간: 2025.02

 

물건, 상품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질까? 라는 호기심에 추천을 받고 읽어본 책이다. 

이 책을 관통하고 있는 문장을 이렇게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격을 높여서 그만큼의 가격을 더 받자"

 

책의 나머지 내용은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담고 있다. 

 

가격의 의미

가격 = 가치 + 격

국밥이라는 '가치'는 동일하지만 종업원의 태도, 카페의 분위기, 재료의 품질에서 ‘격’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격을 높여 가격을 올려야 한다.

 

격을 높여 가격을 올리자, 어떻게?

1. 상품마다 차별을 주자

비즈니스석/이코노미석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차별을 준다는게 절대 나쁜 의미가 아니다. 충분한 이유(더 많은 혜택과 서비스)만 있으면 사람들은 기꺼이 비용을 더 지불할 의사가 있다.

 

2. 색다른 조합(ex. 회를 주는 고깃집)을 통해 선(고정관념)을 넘자.

세상에 없던 조합을 만들어내보자. 그런 신선한 조합은 원래 사람들이 각각의 물건에 가지고 있던 기억들과 갭을 만들어주고,
그 갭만큼 가격을 더 받을 수 있다.

ex. “OO을 서비스로 준다는데 이 정도 가격은 더 낼 수 있지!”

 

3. 공짜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게한다. 공짜를 이용하자. 단, 전략적으로.

카페에서 나가는 손님에게 '이거 무료에요~'라면서 장미꽃을 주는건 하수다.

장미꽃을 바구니에 담아두고 3,000원이라는 가격표를 붙이자. 그리고 손님이 나갈때
이 바스켓에서 장미꽃을 꺼내서 주자. 손님들의 마음을 더 사로잡을 수 있다.

 

4. 욕구를 충족시키자. 욕구=생리+안정+사랑+존경 (갈수록 더 높은 단계의 욕구에 해당한다) -> 매슬로의 욕구 단계

ex. 잠을 자는 숙소 -> 위생적인 숙소 -> 사랑하는 사람에게 가르쳐주고싶은 숙소 -> 부러움을 살수있는 숙소

위와 같은 생각이 들게 하는 숙소를 만들어보자.

 

 

가격 전략: 그 가격에도 살 수 있게 하는 방법 

1. 비싼 상품과의 대비 효과를 이용

 - 메뉴에 기존에 없던 고가의 메뉴를 추가한다. 그리고 기존의 메뉴들은 살짝씩만 가격을 올린다. 그래도 사람들은 그 메뉴들의 가격이 착하게 볼 것이다.

 

2. 근사하고 센스있는 네이밍만으로도 상승

- 평범하기보단 특이하게 + 생각지도 못했던 단어들의 조합(고유성 상승->격 상승->내가 직접 가격을 정할 수 있게 된다)

 

3. 네이밍뿐만아니라 사연, 노동력이 담긴 설명도 중요

- 파워블로거가 추천한 전국 베스트 '삼각김밥', 하루 3번 온도 체크하는 편의점 도시락

 

4. 희소 전략

- 분동안만 할인하는 상품, 품절 임박 상품!

 

5. 디코이 효과

- 두가지 옵션(small 3달러, large 7달러)가 있는 상황에서 매력적이지 
않는 옵션(medium 6.5달러)을 끼워넣으면 나머지 두 옵션이 더 매력적으로 보인다.
- 이는 세트 상품을 팔때도 유용하다. 중간 가격의 세트 상품이 가장 비싼 세트와 가격 차이도 별로 없는데
세트 구성품은 현저히 차이가 난다면? 이왕이면 비싼 세트를 구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