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16 [운영체제OS]7. 메모리 관리 -1(주소 바인딩, 메모리 할당) ******************************** ##이 글은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을 요약해놓은 것이므로 본문 내용만 봐선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소 바인딩 2. 메모리 관리와 관련된 용어 3. 물리적 메모리의 할당 방식 ******************************** 주소란 서로 다른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숫자. 컴퓨터는 이진수를 사용하므로 메모리 주소는 이진수로 매겨짐. 보통의 컴퓨터 시스템은 32비트 혹은 64비트의 주소 체계를 사용하고, 32비트의 경우 2의 32승가지의 서로 다른 메모리 위치를 구분할 수 있음. 컴퓨터에서는 byte 단위로 메모리 주소를 부여하기 때문에 2의 32승 바이트만큼의 메모리 공간에 서로 다른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2021. 3. 6. [운영체제OS]6. CPU 스케줄링-2(알고리즘, 성능 평가) ******************************** ##이 글은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을 요약해놓은 것이므로 본문 내용만 봐선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목차 4. 스케줄링 알고리즘 5. 스케줄링 알고리즘 평가 ******************************** 4. 스케줄링 알고리즘 -선입선출 스케줄링(FCFS) 프로세스가 준비큐에 도착한 시간 순대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 자발적으로 CPU를 반납할 때까지 빼앗지 않는다. 대단히 합리적일 것 같지만 경우에 따라 매우 비효율적인 결과가 초래됨. CPU버스트가 긴 프로세스가 먼저 도착할 경우 뒤의 프로세스들은 CPU버스트가 짧더라도 앞의 프로세스를 모두 기다려야해서 평균 대기시간이 길어짐. 이런 현상을 콘보이 현상(Convoy effec.. 2021. 3. 2. [운영체제OS]6. CPU 스케줄링-1 ******************************** ##이 글은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을 요약해놓은 것이므로 본문 내용만 봐선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목차 1. CPU 스케줄러 2. 디스패처 3. 스케줄링의 성능 평가 ******************************** CPU: 중앙처리장치. 프로그램 카운터(PC)라는 이름의 레지스터가 현재 CPU에서 수행할 코드의 메모리 주소값을 가지고 있게됨. 기계어 명령 3가지: CPU내에서 수행되는 명령/메모리 접근을 수행하는 명령/입출력을 동반하는 명령 CPU 내에서 수행되는 명령: 예로는 Add명령, 수행속도 매우 빠름 메모리 접근을 수행하는 명령: Load명령과 Store명령, 위 명령보단 느리지만 비교적 속도 빠름. 위의 두 명령은 일반.. 2021. 3. 2. [운영체제OS]5. 프로세스 관리-2 ******************************** ##이 글은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을 요약해놓은 것이므로 본문 내용만 봐선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목차 5.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큐 6. 스케줄러 7. 프로세스의 생성 8. 프로세스 간의 협력 ******************************** 5.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큐 준비 큐(ready queue): 운영체제가 준비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을 줄세우기 위함. 장치 큐(device queue): 운영체제가 특정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들을 줄 세우기 위해 자원별로 둠. 예를 들어 디스크에 입출력 서비스를 요청한 프로세스들은 디스크 입출력 큐에 줄을 서게 됨. 위의 큐들은 하드웨어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들을 줄세우.. 2021. 2. 27. [운영체제OS]5. 프로세스 관리-1 ******************************** ##이 글은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을 요약해놓은 것이므로 본문 내용만 봐선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목차 1. 프로세스의 개념 2. 프로세스의 상태 3. 프로세스 제어블록(Process Control Block) 4. 문맥교환 ******************************** 1.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 프로세스는 CPU를 획득해 자신의 코드를 수행하거나, CPU를 반환하고 입출력작업을 수행함. 프로세스 문맥이란 프로세스가 현재 어떤 상태에서 수행되고 있는지 알기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 시분할 시스템 환경에서는 CPU를 계속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고 빼앗겼다가 다시 획득하는식이기 때문에 직전 수행 시점.. 2021. 2. 24. [운영체제OS]4. 프로그래밍 구조(인터럽트, 시스템 콜, 함수) ******************************** ##이 글은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을 요약해놓은 것이므로 본문 내용만 봐선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목차 1. 프로그램 구조 2.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 개요 3. 프로그램의 실행 4. 사용자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함수 5. 인터럽트 6. 시스템 콜 7. 프로세스의 두가지 실행 상태 ******************************** 1. 프로그램 구조 프로그램이 CPU에서 명령을 수행하려면 해당 명령을 담은 프로그램의 주소영역이 메모리에 올라가 있어야 함. 프로그램 주소영역은 코드, 데이터, 스택으로 구분됨. 데이터 영역 - 전역 변수 등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 스택 영역 - 함수 수행을 마치고 복귀할 주소 및 데이터를 임시저장.. 2021. 2. 2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