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목록591 [코틀린 Kotlin] 클래스 정의 및 생성자 호출 코틀린은 클래스를 정의할 때 동시에 생성자를 만들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코드를 보자. class Person(var name:String){ } fun main() { var person1 = Person("Lee") println("person1의 이름은: ${person1.name}") } >> 출력 >> person1의 이름은: Lee 자바와는 다르게 코틀린은 클래스를 작성할 때 함수처럼 인자를 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이 클래스 객체 생성 시에 "Lee"라는 인자를 바로 넘겨주면 자동으로 생성자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person1.name을 출력해보면 "Lee"가 할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 init은 클래스 생성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함수다. class Person(var name:String.. 2021. 7. 5. [코틀린 Kotlin] 코틀린의 조건문, 반복문 (if, for, when, for문 예제 및 사용법) - 조건문 val a = 10 val b = 20 var max:Int if(a>b){ max = a }else{ max = b } // 조건문 if의 축약형 max = if(a>b) a else b // when 사용법 when(max){ 10 ->{ println("결과는 10") } 20 ->{ println("결과는 20") } else ->{ println("결과는 ?") } } // when 사용법2 when(max){ 10, 20 ->{ //10 또는 20을 의미 println("결과는 10 또는 20") } else ->{ println("결과는 ?") } } // when 사용법3 : 10..20은 10~20까지의 범위를 의미 when(max){ in 10..20 ->{ println(".. 2021. 7. 5. [코틀린 Kotlin] 함수 사용법 함수의 축약 fun add(a:Int, b:Int):Int = a + b // 함수의 축약, 소괄호 안 명령이 1줄일때 return값을 =로 받을 수 있음 input의 개수가 정해지지 않은 함수 fun sum(vararg inputs:Int):Int{ var output = 0 for ( num in inputs){ output = output + num } return output } fun(10,20,30) 2021. 7. 4. [코틀린 Kotlin] 상수 선언 및 접근 방법( 동반 객체companion object와 패키지 변수) 1. 동반 객체 클래스 안에 다음을 작성해주면 public class MainActivity{ companion object{ const val Bonus:Int = 100 } } 다른 클래스에서도 MainActivity.mBonus로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2. 패키지 변수 패키지 변수로 선언 후 패키지 import하여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constants라는 새 패키지를 마는 후 그 안에 새로 Constants라는 코틀린 파일을 만들어주었다. 그 안에 변수 mBonus를 작성한다. 그러면 다른 클래스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우리가 패키지 변수에 접근하려고 할때 코틀린에서 자동으로 패키지를 import해주기 때문이다. import 부분을 확장해서 살펴보면 가장 아랫줄에 패키지.. 2021. 7. 4. [코틀린 Kotlin] 여러가지 형변환 및 is, as 사용법 is : 자료형 체크 as : 자료형 변환 val input1:Any = "안녕" if ( input1 is String){ // is로 자료형 체크,Int, Float, String 등이 사용가능, // !is String은 String이 아닌 자료형을 의미! val output2:String = input1 as String // as로 any자료형을 string으로 변환 } val output3:String? = input1 as String? // 이와 같이 널허용자료형으로도 변경 가능 val output4 = input1 as? String // as?는 변환 시 null이 반환될 수 있을 때 예외 상황을 만들지 않고 null을 반환 val output5 = input1 as? String ?:.. 2021. 7. 4. [코틀린 Kotlin] 널Null 허용 자료형 예시, 느낌표 두개(!!), 물음표(?)의 의미와 사용법 프로그램의 수많은 오류 중 대표적인 오류로 NPE(Null Pointer Exception)가 있다. 코틀린은 Null 처리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var name : String? 위와 같이 자료형 뒤에 ?를 붙이면 널허용 자료형이 된다.(wrapping) 원래의 자료형으로 언래핑하려면 변수명!!을 해주면 된다. name!! !!은 널이 아님을 명시해주는 표시이다. 그럼 다음을 보자. var name :String? = null val nameLength :Int = name.length // 오류 발생! 위의 코드를 작성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name에 널허용이 되어있는한 length에 접근할 수 없다. var name :String? = "Kim" val nameLength :Int = n.. 2021. 7. 4.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