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문자>
|
| 메타 문자는 or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A|B라는 정규식이 있다면 A 또는 B라는 의미가 된다.
^
^ 메타 문자는 문자열의 맨 처음과 일치함을 의미한다. 앞에서 살펴본 컴파일 옵션 re.MULTILINE을 사용할 경우에는 여러 줄의 문자열일 때 각 줄의 처음과 일치하게 된다.
$
$ 메타 문자는 ^ 메타 문자와 반대의 경우이다. 즉 $는 문자열의 끝과 매치함을 의미한다.
\A
\A는 문자열의 처음과 매치됨을 의미한다. ^ 메타 문자와 동일한 의미이지만 re.MULTILINE 옵션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르게 해석된다. re.MULTILINE 옵션을 사용할 경우 ^은 각 줄의 문자열의 처음과 매치되지만 \A는 줄과 상관없이 전체 문자열의 처음하고만 매치된다.
\Z
\Z는 문자열의 끝과 매치됨을 의미한다. 이것 역시 \A와 동일하게 re.MULTILINE 옵션을 사용할 경우 $ 메타 문자와는 달리 전체 문자열의 끝과 매치된다.
\b
\b는 단어 구분자(Word boundary)이다. 보통 단어는 whitespace에 의해 구분된다.
\B
\B 메타 문자는 \b 메타 문자와 반대의 경우이다. 즉 whitespace로 구분된 단어가 아닌 경우에만 매치된다.
<Grouping>
( )를 사용
>>> p = re.compile('(ABC)+')
>>> m = p.search('ABCABCABC OK?')
>>> print(m)
<re.Match object; span=(0, 9), match='ABCABCABC'>
>>> print(m.group())
ABCABCABC
<Sub>
>>> p = re.compile('(blue|white|red)')
>>> p.sub('colour', 'blue socks and red shoes')
'colour socks and colour shoes'
sub 메서드의 첫 번째 매개변수는 "바꿀 문자열(replacement)"이 되고, 두 번째 매개변수는 "대상 문자열"이 된다. 위 예에서 볼 수 있듯이 blue 또는 white 또는 red라는 문자열이 colour라는 문자열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딱 한 번만 바꾸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렇게 바꾸기 횟수를 제어하려면 다음과 같이 세 번째 매개변수로 count 값을 넘기면 된다.
>>> p.sub('colour', 'blue socks and red shoes', count=1)
'colour socks and red shoes'
sub 메서드 사용 시 참조 구문 사용하기
>>> p = re.compile(r"(?P<name>\w+)\s+(?P<phone>(\d+)[-]\d+[-]\d+)")
>>> print(p.sub("\g<phone> \g<name>", "park 010-1234-1234"))
010-1234-1234 park
위 예는 이름 + 전화번호의 문자열을 전화번호 + 이름으로 바꾸는 예이다. sub의 바꿀 문자열 부분에 \g<그룹이름>을 사용하면 정규식의 그룹 이름을 참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과 같이 그룹 이름 대신 참조 번호를 사용해도 마찬가지 결과를 돌려준다.
>>> p = re.compile(r"(?P<name>\w+)\s+(?P<phone>(\d+)[-]\d+[-]\d+)")
>>> print(p.sub("\g<2> \g<1>", "park 010-1234-1234"))
010-1234-1234 park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