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표현식은 함수의 기능을 런타임에 생성하여 실행할 수 있는 익명 함수다.
람다 표현식의 대표적 활용 예:
>>list(map(lambda x: x+10, [1,2,3]))
[11,12,13]
형태: lambda 매개변수 : 리턴값
<람다식 사용 및 활용>
# 괄호를 사용하여 x값에 들어갈 값을 바로 줄 수 있음
>>(lambda x: x+10)(1)
11
# 람다식 안에는 변수 사용 불가
>>(lambda x: x+y)(1)
error
# 하지만 람다식 밖의 변수는 사용 가능
>>y=10
>>(lambda x: x+y)(1)
11
# 매개변수가 없어도 가능, 단 반환값은 무조건 존재해야 함
>>(lambda : 1)()
1
# 함수를 짧게 쓸 때도 사용
>> add = lambda x : x+5
>>add_ten(1)
6
* 람다식 안에 if 조건문을 넣을 수도 있다. 이때 순서에 주의.
if일 경우의 반환 값을 제일 앞에 쓰고 마지막에는 else의 반환값.
def check_score(x):
if x >= 60:
return 'pass'
else:
return 'fail'
## 위 함수를 람다식으로 쓰면 한줄로 작성할 수 있다.
check_score = lambda x : 'pass' if x>=60 else 'fail'
댓글